시로 여는 일상

최찬상 반가사유상

생게사부르 2017. 6. 13. 08:03

최찬상


반가사유상



면벽한 자세만
철로 남기고
그는 어디 가고 없다

어떤 것은 자세만으로도
생각이므로
그는 안에 있어도 없어도 그만이겠다

한 자세로
녹이 슬었으므로
천 갈래 만 갈래로 흘러 내린 생각이
이제, 어디 가 닿는 데가 없어도
반짝이겠다



2014. 문화일보 신춘문예 당선작

 

 

*       *       *

 

 

단순하고 근원적이고 본질적인 것이 간절한 체험과 만날 때 시적 깊이와 직관이 생겨 공감대를 자아낸다

 

위 시는 화자의 개입없이 시적 대상인 ' 반가사유상'의 외연과 내면을 집요하게 파고 들어 형상화시킨 작품이다.

이 시에서 < 반가 사유상>의 외적 속성은 ' 고정된 자세, '철로된 몸',' 녹이 슨 상태'만을 가지고 있다.

그런 외적 형상이 가진 속성을 바탕으로 내적 속성을 집요하게 탐구한다.

 

' 녹이 슨 상태인데도 아직도 저 안에 부처가 있을까?'

' 그가 만약 떠났다면 남겨진 형상은 무슨 의미일까?

' 자세는 무엇을 의미할까?'

그런 본질적인 질문을 바탕으로 답을 찾듯 질문을 집요하게 파고 들어야 한다

아마도 그는'면벽하는 자세만 남기고 떠났다' 라는 사유가 답으로 탄생하게 되었을 것이다

 

이제 시를 쓸 차례다.

구체적인 겉의 속성은 꼭 필요한 것만 묘사한다.

그런 후 이면에 담겨 있는 속성을 아주 천천히 섬세하게 시적 진술을 통해 던져 놓으면 된다.

그런 방식에 의해 이 시의 압권에 해당하는

 

" 어떤 것은 자세만으로도/ 생각이므로/ 그는 그 안에 있어도 없어도 그만이겠다" 란 구절이 탄생하게 되었을 것이다

 

거기에 담긴 시적 사유는 간결하지만 울림은 무한대로 확장된다.

무소유가 갖는 자유로움과 광활함이 이 구절 하나에 온전히 담겨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 연에

" 한 자세로/녹이 슬었으므로/ 천 갈래 만 갈래로 흘러 내린 생각이/ 이제, 어디 가 닿는데가 없어도/ 반짝이겠다"

라고 한 구절 또한 백미이다

 

...무소유의 절정은 무소유를 깨달았다는 생각마저 지우는 것이기에,

' 어디 가 닿는데가 없어도/ 반짝이겠다' 라는 표현은 그야말로 절창이다

 

 

- 하린의 ' 시클' 고요아침

   제13장 ' 내 시엔 깊이가 없대요 깊이를 넣을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 중에서

 

 

산문인지 시인지 구분이 어려울 정도의 시들이 많은데 역시 시는 간결하고 함축적인 속에서

그 맛을 다할 때 시 본연의 묘미가 있다.

아래 사진은 최근 일부 복원되고 녹슨 때를 벗긴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 인데 그런 활동이 역사학이나 고고학

문화인류학이 하는 역할이라면 시인은 녹이 슬었으면 슨대로 위 같은 시를 뽑아 내는 일 

그것이 시인의 일상이자 살아가는 의미일 것이다.

 

 

 

 

'시로 여는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화진 사람과 사람이 어울려  (0) 2017.06.15
이성복 아, 입이 없는 것들 22, 23  (0) 2017.06.14
최정례 레바논 감정  (0) 2017.06.12
장석남 나의 울음터  (0) 2017.06.10
물울, 물결 속에서/신영배  (0) 2017.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