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월의 나무/ 박준
불을 피우기
미안한 저녁이
삼월에는 있다
겨울 무를 꺼내
그릇 하나에는
어슷하게 썰어 담고
다른 그릇에는
채를 썰어
고춧가루와 식초를 조금 뿌렸다
밥상에는
다른 반찬인 양
올릴 것이다
내가 아직 세상을
좋아하는 데에는
우리의 끝이 언제나
한 그루의 나무와
함께한다는 것에 있다
밀어도 열리고
당겨도 열리는 문이
늘 반갑다
저녁밥을 남겨
새벽으로 보낸다
멀리 자라고 있을
나의 나무에게도
살가운 마음을 보낸다
한결같이 연하고 수수한 나무에게
삼월도 따뜻한 기운을 전해 주었으면 한다
* 시 한편은 시로 보이는데
시집 한권을 읽으면 한 시인이 보인다
박준 시집, ' 우리가 함께 장마를 볼 수도 있겠습니다'
이렇게 쉽게 읽히는데
신춘문예나 신인 문학상 수상작들은 하나 같이 어려워서...
시를 쓸 수 있는 역랑을 시험하는 절차
시인이라는 월계관을 받기 위한 통과의례라 그럴까?
'시로 여는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이듬 시골 창녀와 진주 시 행사 (0) | 2019.04.14 |
---|---|
심재휘 기적, 겨울입술 (0) | 2019.03.15 |
조랑말 속달 우편/ 곽문영 (0) | 2019.03.06 |
동심同心/ 문성해 (0) | 2019.03.03 |
황인숙 간발 (0) | 2019.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