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로 여는 일상

2019년 신춘문예 당선 시

생게사부르 2019. 1. 2. 10:17

2019. 신춘문예 당선 시

 

 

전북일보

 

 

훈민정음 재개발지구/ 한경

 

 

 

강남로 집현전 부동산 내벽에는

매물로 나온 낯선 문자들이 새겨져 있다

푸른 종이 속 세종대왕을 사랑한 삼촌은

강남로에 집현전을 차려 놓고

그 안에 가득 바람을 풀어놓았다

 

이 곳의 바람은

타워팰리스 하늘과 내통한 지 이미 오래다

집현전 내벽에 새롭게 나 붙은 훈민정음을 보며

성층권에서 내려온 별똥별의 수다가 한창이다

별똥별의 방언도 이곳에서는

종종 새로운 훈민정음으로 인정된다

 

무질서하게 흩어져 있던 소문의 지도를 따라

북두칠성이 제 궤도를 돌

궤도을 벗어난 뭇별들은 지하로 숨어들어

각진 상자 한 귀퉁이에 지친 제 하루를 누인다

 

모양과 크기가 다른 상자 속의 상자

앰블런스 소리가 빈번한 이곳

곽에서 관으로 이동하는 길목에도 훈민정음이 있다

흐린 불빛을 달고 수직으로 오르내리는 관은

언젠가는 땅속 깊이 스며들어 더 이상

길어 올릴 수 없는 검은 우물을 만질 것이다

 

노숙에서 돌아 온 아버지는 이미 그 우물의 색깔을 알고 있다

종종 허름한 지하방으로 스며들던 그 우물의 예언을 사람들은 한 때

언문이라고 불렀다는 것도,

 

순식간에 곽이 관으로 변하는 것은 집현전의 소관이 아니다

ㄱ자로 꺽인 길을 돌아 ㄴ자로 통하는 길은

강남로 후미진 골목 도처에 널려 있다

 

나랏말싸미 세상인심과 달라

언제부턴가 사람들은 주위에 이상한 소문의 울타리를 친다

바람이 곽을 슬쩍 밀면 순식간에 관이 되는 이 새로운 골목에서

세종대왕을 사람한 삼촌은 집현전 벽면에 새로운 훈민정음을 붙이고

네모난 상자곽 안의 잠을 사랑한 아버지는 오늘도

신의 잠 속에 칠성판을 그려 넣고 일찍 잠자리에 드셨다

 

아버지에겐 종종 잠도 또 다른 언문이다

 

 

 

 

*  1959년생이고 동국대 일산 캠퍼스 평생교육원 시 창작과정 수료네요

 

심사위원들 말 아니라도 발상이 좋네요.

 

훈민정음과 언문

세종대왕과 부동산 거품

성냥곽 같은 아파트와 관의 수직이동

북두칠성과 칠성판


위 대상을 잘 버무려 자연스럽게 녹아들게 빚은 시입니다

또 한편

 

 

국제신문

 

 

스테이플러 씨/ 이규정

 

 

그는 서류들을 한 코에 제압하고 있다.

바람의 두께에 따라 뒤집어질 수도 있지만

이미 꿰인 코는 염기서열을 갖는다.

얀 낱장에 뼈대를 두고 있는 얼굴들

 

묶인 것으로 질서가 된 몸이지만

위아래 각을 맞추는 것은 복종의 의미

자세를 낮추고 하나의 각도와 눈높이로 사열되어

제왕의 예의를 갖추듯 손발을 맞추고 있다.

 

떤 묶음도 첫 장 머리에서 움직이고

펄럭이는 팔과 다리를 갖게 된다.

간혹 흩어질까 묶인 것들 끼리 권券이 된다.

날개를 갖고 있어도

그 손에 한번 잡히면 그만이다

 

입이란 하나의 입구

무엇이 채워졌을 때

뜬 구름이라도 소화하게 만든다.

솜 사탕과 뜬 구름은 종이 한장의 차이

단정하게 정리된 그의 입에

꽉 물려서 봉투 속으로 들어 가는 것을 본 적 있다.

 

흐트러진 낱장들을 함구시키며 제압하는

따악, 그 소리

일침으로 조용히 봉할 줄 아는 그는

서류의 제왕이다.

 

 

 

* 역시 발상이 좋고 시를 빚는 솜씨가 노련합니다.

둘째연의 질서, 각, 복종, 사열 같은 군대(?)용어

남자분일지... 요즘은 이름만으로 성별 구분이 어렵더러구요.

굳이 성별 구분 할 필요 없지만

 

여성이 아니면 느낄 수 없고 쓸 수 없는 소재나 대상이 있고

또 마찬가지로 남자가 섰을 것 같은 느낌을 갖는 시들이 있기에

 

두분 축하드립니다.

SNS나 영상 세대 자극받는 극점이 다르고

문자와 음악 미술, 무용 심지어 영화까지 융합되는 풍토에서

문자로 쓰는 시나 문학(책)이 살아 남겠나하는 우려들을 하지만

신춘문예나 각 신인문학상 발표 때 심사위원 선정과정이나 심사평을 읽으면

' 이렇게 문학 하는 사람들이 많은가? ' 하고 놀라게 됩니다.

 

일단 문학을 한다는 건 문자를 기본으로 사유하는 삶

인생의 외형이면의 깊이나 철학을 탐구 해 들어가는 것이니 양적 확장이 질적 향상도

가져올 수 있을 것 같아 바람직하게 느껴집니다. 

 

전국의 시 창작교실, 대학부속 평생교육원에서 시 공부하는 동지들

2019년 한 해도 땀 흘려 봅시다.!!!

 

 

 

사진: 스테이플러로 만든 작품

        안성대 히스토리